검은 대륙의 기적 : 아프리카에서 태어난 4개 스타트업이 글로벌 VC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비결 : 비주류VC의 Inside Capital Series
검은 대륙 아프리카를 아시나요? 희망이 없을 것 같은 아프리카에서도 반짝이는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도전을 지속
2025. 8. 27.
검은 대륙의 기적 : 아프리카에서 태어난 4개 스타트업이 글로벌 VC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비결 : 비주류VC의 Inside Capital Series
검은 대륙 아프리카를 아시나요? 희망이 없을 것 같은 아프리카에서도 반짝이는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도전을 지속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도 누구보다 빠르게 신선한 투자업계의 정보를 전달해 드리는 "비주류VC" 예요. 오늘은 "비주류VC의 Inside Capital Series"로 찾아뵙게 되었어요.
아프리카를 검은 대륙이라고 부르는 거 아시나요?
희망이 보이지 않는 이 검은 대륙에서도 정말 멋진 스타트업들이 도전하고 있어요. 촛불을 켜고 공부하다 집이 탈 뻔한 아프리카 창업자가 어떻게 글로벌 VC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을까요? 나이지리아 9천만 명이 전기 없이 살고 있는 현실에서 태어난 솔루션들이 왜 더 강력한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오늘은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아프리카식 혁신의 비밀을 들려드릴께요.
@Techcabal 채널은 아프리카 기술 생태계를 다루는 주요 미디어 플랫폼이에요. TC Battlefield는 아프리카 스타트업들에게 글로벌 무대에서 피칭할 기회를 제공하는 대회죠.
오늘은 @Techcabal 유튜브 채널의 "TC Battlefield: The Global Launchpad for African Startups (Full Documentary)" 영상의 엑기스만 뽑아서 소개해 드리도록 할께요.
아래 내용은 Q&A 형식으로 전해드림을 미리 알려드려요.
Source:
TC Battlefield: The Global Launchpad for African Startups (Full Documentary) - TechCabal YouTube Channel
One Grid Energies - Waste to Clean Energy Conversion Company
Soap Technologies - Electric Vehicle Battery Swapping Service
Q : 아프리카란 단어만 들어도 무엇이지 힘든 환경일 것 같아요. 아프리카 스타트업들이 해결하는 문제는 왜 특별할까요?
(Source : TC Battlefield_TechCabal)
나이지리아에는 9천만 명이 전기 없이 살고 있어요.
One Grid Energies(원그리드 에너지스, 폐기물 청정에너지 변환업체)의 창업자 Valentine은 촛불을 켜고 공부하다가 집이 탈 뻔한 경험을 했어요. 이런 절실한 경험에서 나온 솔루션은 달라요.
기존 태양광 시스템은 너무 비싸서 서민들이 접근하기 어려웠는데, 폐기물을 청정에너지로 바꾸는 기술로 이 문제를 해결했죠. VC들이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창업자가 직접 경험한 문제를 해결할 때 솔루션의 적합성이 훨씬 높다는 거예요.
Q : 그런 절실한 문제를 다른 스타트업들은 어떻게 접근하고 있나요?
(Source : TC Battlefield_TechCabal)
Swap Technologies(스왑 테크놀로지스, 전기차 배터리 교환 서비스)는 처음부터 전기차를 만들지 않았어요.
기존 가솔린 차량을 전기차로 개조하고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을 설치하는 방식을 선택했죠.
창업자는 10년 넘게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일하면서 태양광 패널만 파는 것으로는 아프리카 전력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걸 깨달았어요.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보다 기존 자원을 활용해서 진입 비용을 크게 줄였죠.
Q : 듣기로는 아프리카는 화폐가 불안정해서 역설적으로 금융 분야에서 많은 발전이 있다고 들었어요. 어떤 혁신이 있었나요?
(Source : TC Battlefield_TechCabal)
Zinari Technologies(지나리 테크놀로지스, 암호화폐 결제 게이트웨이)는 기술 지식이 없어도 쉽게 암호화폐 결제를 받을 수 있는 도구를 만들어요.
아프리카에서는 은행 계좌 개설이 어렵고 국제 송금 비용이 높아서 암호화폐가 중요한 대안이 되고 있어요.
창업자는 9월 제품 출시 직후 마감일 직전에 '그냥 한 번 해보자'는 마음으로 지원했대요. VC들은 제품이 막 시장에 나온 직후의 스타트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어요. 초기 시장 반응을 보면서 투자 결정을 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거든요.
Q : 암호화폐 관련한 기술적 복잡성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고 있나요?
(Source : TC Battlefield_TechCabal)
PLAY2LEARN(플레이 투 런, Web2-Web3 교육 플랫폼)은 기존 웹 사용자들을 Web3 생태계로 온보딩하는 서비스를 만들어요.
Web2와 Web3 사이의 격차를 교육을 통해 해결하려는 거죠.
이 회사의 접근법에서 주목할 점은 기술적 복잡성을 교육으로 해결하려고 한다는 거예요. Web3 기술이 아무리 좋아도 사람들이 사용법을 모르면 의미가 없거든요. VC들이 Web3 관련 투자를 할 때 기술적 우수성만 보면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어요.
사용자 교육과 온보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팀인지가 더 중요할 수 있죠.
특히 아프리카처럼 디지털 리터러시가 다양한 시장에서는 교육 요소가 더욱 중요해요. 기술 격차를 해소하는 솔루션에 투자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큰 시장을 만들 수 있어요.
Q : 행사 중에 굉장히 인상 깊은 세션도 있었다고 하던데 어떤 거였나요?
(Source : TC Battlefield_TechCabal)
TC Battlefield 부트캠프에서 Tomi Davies의 스토리텔링 세션이 가장 인상적이었어요.
Tomi Davies는 TVC Labs(TVC랩스, 기술 비즈니스 액셀러레이터) CEO이자 "아프리카 엔젤투자의 대부"로 불리는 인물이에요.(한국의 장병규 의장님 같은 분인가봐요...;;;) 한 창업자는 컨퍼런스를 중단하고 이 세션에 집중할 정도였죠.
이 창업자는 수많은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경험해봤지만 Tomi Davies의 세션은 완전히 달랐다고 해요. 각 슬라이드마다 구체적인 스토리가 담겨 있었고, 이론적 접근이 아닌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실용적 방법론을 제시했어요. 단순히 "이렇게 해라"가 아니라 "왜 이렇게 해야 하는지"의 배경 스토리까지 설명해줘서 창업자들이 본질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었죠.
VC들도 단순히 돈만 투자하는 게 아니라 측정 방법론까지 전수해주는 것이 투자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이에요.
Q : 그래서 실제 무대에서는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Source : TC Battlefield_TechCabal)
Valentine은 피칭 당일 엄청나게 긴장해서 온몸이 땀으로 젖었어요.(피칭 때 떨고 땀나는 건 전 세계 어느 창업자든 다 마찬가지로 겪는 일이네요. ㅎㅎㅎ)
하지만 마이크를 잡는 순간 자연스러워졌죠. "이건 내 스타트업이고, 굳이 외울 필요도 없다"는 마음가짐 때문이었어요.
(Source : TC Battlefield_TechCabal)
Swap Technologies 창업자는 긴장해서 뒤로 피해있다가 2등으로 호명되는 순간 "정말 우리를 부른 게 맞나?"하고 의심했대요. 이번이 첫 우승이라 "내 첫 번째 그래미"라고 표현했어요.(창업자가 느끼는 이 희열을 투자자도 같이 느끼게 되거든요. 그래서 "비주류VC"가 이 일을 계속 하는 것일 수도 있어요. ^ㅡ^)
진짜 창업자는 자신의 비즈니스에 대해 이야기할 때 자연스러워져요. 이것이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는 핵심 포인트예요.
오늘 배우게 된 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볼께요.
창업자의 직접 경험이 최고의 시장 검증임 Valentine처럼 문제를 직접 겪어본 창업자가 만든 솔루션은 시장 검증이 이미 끝난 상태예요. 10년 넘게 촛불을 켜고 공부한 경험이 바로 시장 리서치였던 거죠. VC들은 창업자가 얼마나 깊이 문제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첫 번째로 봐야 해요. 이론적 분석보다 실제 경험에서 나온 인사이트가 훨씬 정확하고 지속가능해요.
기존 인프라 활용이 신흥시장 성공의 열쇠임 Swap Technologies처럼 처음부터 새로 만들기보다는 기존 자원을 활용하는 접근법이 효과적이어요. 특히 자본이 부족한 신흥시장에서는 진입 비용을 줄이는 것이 생존의 조건이죠. 선진국 솔루션을 그대로 가져오는 게 아니라 현지 상황에 맞게 적용하는 능력이 중요해요. VC들은 현지화 역량을 가진 팀에 더 주목해야 해요.
제품 출시 직후가 투자의 골든타임임 Zinari처럼 제품이 막 시장에 나온 직후의 스타트업들이 가장 흥미로운 투자 대상이에요. 초기 시장 반응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투자 결정을 할 수 있는 타이밍이거든요. 너무 일찍 투자하면 불확실성이 크고, 너무 늦으면 밸류에이션이 높아져요. 제품-시장 적합성이 확인되기 시작하는 시점이 바로 투자의 스위트스팟이에요.
진정성이 최고의 피칭 스킬임 가장 좋은 피칭은 연기가 아니라 진심이에요. Valentine이 마이크를 잡는 순간 자연스러워진 것처럼, 진짜 창업자는 자신의 비즈니스를 이야기할 때 별도의 준비가 필요 없어요. VC들도 화려한 프레젠테이션보다는 창업자의 진정성과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를 더 중요하게 봐야 해요.
* 정말 한명 한명 너무나도 눈부시게 빛나는 창업자들이었어요. 저런 척박한 곳에서도 세상을 바꾸기 위한 창업자들의 도전은 눈부시다 못해 눈이 멀 지경으로 빛나고 있어요. 솔직히 한국의 VC가 아프리카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것은 불가능해요. 하지만 아프리카 스타트업들의 이런 접근법을 보면서 신흥시장 투자 시 현지 경험이 있는 창업자와 기존 인프라를 활용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더 집중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됐어요. 실제로 특정한 어려움을 생활에서 겪어보고 진정성을 가지고 창업하는 창업자를 더 집중적으로 찾도록 하겠습니다.
"비주류VC"는 계속 스타트업 산업과 투자 업계에 대한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빠르고 신선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해요. 운영 중인 Threads, 뉴스레터, Youtube를 구독해 주시면 큰 힘이 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