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 이란 전쟁 등 전 세계 각지에서 전쟁이 일어나고 있어요. 실리콘 밸리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도 누구보다 빠르게 신선한 투자업계의 정보를 전달해 드리는 "비주류VC" 예요.
오늘은 "비주류VC의 Exclusive Research Series"로 찾아뵙게 되었어요.
우크라이나에서 드론이 날아다니고, 이스라엘에서 아이언돔이 가동되는 지금 이 순간, 실리콘밸리의 돈 냄새 잘 맡는 VC들은 이미 다음 투자처를 찾았어요.
바로 "Defense Tech(국방 기술)"예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갈등, 대만 해협 긴장까지. 전 세계가 동시다발적으로 불타고 있는 지금, ChatGPT와 바이오에만 빠져있던 투자자들이 갑자기 눈을 번쩍 뜨고 있어요.
2024년 미국 Defense Tech 투자가 30억 달러(약 4조원)를 돌파했고, Shield AI는 53억 달러(약 73조원), Anduril은 305억 달러(약 421조원) 밸류에이션을 기록했어요.
이게 얼마나 큰 숫자인지 감이 안 오시나요?
한국 전체 스타트업 투자액의 몇 배에 달하는 금액이에요. 그런데 정작 한국은 아직도 "방산은 정부 사업이니까..." 하면서 손도 대지 않고 있어요.
과연 우리가 놓치고 있는 이 거대한 기회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왜 하필 지금, 실리콘밸리 최고의 투자자들이 Defense Tech에 미쳐가고 있는 걸까요?
오늘은 이 뜨거운 투자 트렌드의 정체를 낱낱이 파헤쳐보겠어요.
분량이 좀 많지만 끝까지 읽어보시면 왜 Defense Tech가 차세대 투자처인지 확실히 이해하실 거예요!
Source
- America's Frontier Fund launches to secure U.S. technology leadership for a new era (PR Newswire) (2022)
- Drone Defense Startup Shield AI Lands $5.3 Billion Valuation (Bloomberg) (2025)
- Anduril raises $2.5B at $30.5B valuation led by Founders Fund (TechCrunch) (2025)
- Defense Tech Venture Funding Gains Traction (Crunchbase) (2025)
- Creating a modernized defense technology frontier (McKinsey) (2025)
- Silicon Valley venture capital blowing up the US defense industry (Asia Times) (2025)
- AI startups drive VC funding resurgence, capturing record US investment in 2024 (Reuters) (2025)
- Roadrunner Venture Studios Launches with Backing from America's Frontier Fund (PR Newswire) (2023)
- America's Frontier Fund Receives Up to $100 Million Commitment from New Mexico State Investment Council (Business Wire) (2022)
|
|
|
Q : 최근 Defense Tech(국방 기술) 투자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 실제로 얼마나 큰 규모인가요? |
|
|
2024년 미국 국방 기술 스타트업들이 받은 벤처캐피털 투자가 무려 30억 달러(약 4조 1,400억 원)에 달했어요.
이는 2023년 대비 11% 증가한 수치로, 102건의 투자 딜이 성사됐죠. 더 놀라운 건 2024년 11월 중순까지만 해도 거의 30억 달러를 기록해서, 이미 2022년 전체 기록인 26억 달러를 넘어섰다는 점이에요.
특히 주목할 점은 전체 미국 벤처캐피털 투자에서 국방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거예요. 예전에는 실리콘밸리 투자자들이 윤리적 우려나 LP들의 압박 때문에 국방 기술을 기피했는데, 지금은 완전히 분위기가 바뀌었어요. |
|
|
Q : America's Frontier Fund가 무엇이고, 왜 주목받고 있나요? |
|
|
America's Frontier Fund(미국 프론티어 펀드, 첨단기술 국가안보 투자기금 / 이하 AFF)는 미국 최초의 비영리 전략투자펀드로, 국가 이익을 위한 혁신적인 딥테크 기업들을 구축하고 확장하는 데 집중하고 있어요.
2022년에 설립됐는데, 2024년 11월에는 미국 국방부와 파트너십을 맺으며 Small Business Investment Company Critical Technology Initiative(SBICCT)의 첫 번째 승인 펀드가 됐어요.
이 펀드의 독특한 점은 비영리 구조로 운영된다는 거예요. 장기적인 민간 자본을 조달하고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와 다른 비영리 투자자들과 협력해서 딥테크를 성숙시킨 다음, 그 수익을 다시 국가 이익을 위한 새로운 기술에 재투자할 수 있어요.
특히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인공지능, 신소재, 양자과학, 차세대 네트워크(5G/6G), 첨단 제조업, 합성생물학 등에 집중 투자하고 있어요. 중국이 수조 달러를 투자해서 미국을 앞서려고 하는 상황에서, 미국도 국가 차원의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본 거죠. |
|
|
Q : America's Frontier Fund의 구체적인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
|
|
AFF의 포트폴리오는 매우 전략적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PitchBook 데이터에 따르면 AFF가 가장 최근에 투자한 회사는 2025년 2월 21일에 투자받은 Foundation Alloy(파운데이션 알로이, 산업 소재 및 부품 개발사)로, 산업 소재 및 부품 분야 회사예요.
물론 Defense Tech 하면 Palantir(팔란티어, 데이터 분석 및 정부 소프트웨어 제공사) 같은 회사들이 먼저 떠오르죠. 하지만 솔직히 팔란티어는 이미 너무 알려진 회사예요. 지나가는 중학생한테 "너 팔란티어 알어?" 라고 물어보면 10명 중 9명은 "네!! 아는데요!?!?왜요!??!!" 라고 답할 정도로 잘 알려져 있잖아요?
하지만 진짜 투자 기회는 아직 대중들이 주목하지 않은 곳에 숨어있거든요. 그래서 오늘은 정말 새롭게 떠오르는 회사들에 집중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AFF의 가장 주목할 만한 포트폴리오는 Roadrunner Venture Studios(로드러너 벤처 스튜디오, 첨단기술 벤처 스튜디오)예요. AFF는 뉴멕시코 주 투자위원회로부터 최대 1억 달러(약 1,380억 원) 약정을 받아서 알버커키에 'Roadrunner Studios'라는 최초의 프론티어 기술 벤처 스튜디오를 구축했어요.
Roadrunner Venture Studios는 2023년 12월에 공식 출범했는데, AI, 양자컴퓨팅, 에너지, 우주, 청정기술, 첨단제조업 등 중요 기술 분야에서 회사들을 구축하는 데 집중하고 있어요. 특히 뉴멕시코의 국가연구소들과 R&D 센터들에서 나오는 프론티어 기술 아이디어를 회사로 전환하는 역할을 해요.
2024년에는 Roadrunner Fund를 출범시켜서 스튜디오에서 구축하는 혁신적인 회사들에 투자할 뿐만 아니라, 미국 전역의 가장 유망한 프리시드 및 시드 회사들에도 투자하고 있어요.
또한 250억 달러(약 345조 원) 이상의 운용자산을 대표하는 Playground Global(플레이그라운드 글로벌, 딥테크 벤처캐피탈), Lux Capital(럭스 캐피탈, 신흥기술 투자사), Khosla Ventures(코슬라 벤처스, 청정기술 벤처캐피탈), Crosslink Capital(크로스링크 캐피탈, 성장기업 투자사), At One Venture(앳 원 벤처, 초기단계 투자사) 등이 참여하는 Roadrunner Venture Consortium을 구축했어요. |
|
|
Q : Shield AI는 어떤 회사이고, 최근 투자 현황은 어떤가요? |
|
|
Shield AI(쉴드 에이아이, 자율 군사드론 및 AI 소프트웨어 개발사)는 2015년에 설립된 샌디에이고 기반 국방 기술 스타트업이에요.
전직 네이비 실 장교인 '브랜든 쳉'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전투 중 정찰 부족으로 인한 사상자를 목격한 후 창업 아이디어를 얻었어요.
최근 투자 현황을 보면 정말 놀라워요. 2025년 3월에 2억 4,000만 달러(약 3,312억 원)를 투자받으면서 기업가치가 53억 달러(약 73조 1,400억 원)에 달했어요. 이는 미국에서 Anduril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국방 기술 스타트업이 된 거예요.
Shield AI의 핵심 기술은 Hivemind라는 AI 소프트웨어인데, F-16 전투기, MQ-20 드론, 쿼드콥터 등이 GPS나 통신 없이도 자율적으로 비행할 수 있게 해줘요. 심지어 지하 터널이나 건물 내부도 탐색할 수 있어서 군사 작전에 필수적인 능력이죠.
투자자들도 화려해요. L3Harris(엘쓰리해리스, 미국 방산업체)와 Hanwha Aerospace(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 항공우주 방산업체) 같은 주요 투자자들이 참여했고, 기존 투자자인 Andreessen Horowitz(안드리센 호로위츠,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탈)도 계속 투자하고 있어요. |
|
|
Q : Anduril은 어떤 회사이고, 투자 규모가 얼마나 큰가요? |
|
|
Anduril(안두릴, 자율 무기시스템 및 AI 제어 소프트웨어 개발사)은 2017년에 Palmer Luckey(팔머 러키)가 설립한 회사예요.
Luckey는 이전에 Oculus VR(오큘러스 VR, 가상현실 헤드셋 개발사)을 창업해서 2014년에 Facebook(페이스북, 글로벌 SNS 운영사)에 20억 달러(약 2조 7,600억 원)에 매각한 경험이 있어요. |
|
|
투자 규모가 정말 어마어마해요. 2025년 6월에 25억 달러(약 34조 5,000억 원)를 투자받으면서 기업가치가 305억 달러(약 421조 원)에 달했어요. 이 라운드에서 Peter Thiel(피터 틸)의 Founders Fund(파운더스 펀드, 혁신기술 투자목적 펀드)가 10억 달러(약 13조 8,000억 원)를 투자했는데, 이는 Founders Fund 역사상 가장 큰 투자액이에요.
Anduril은 2024년 매출이 두 배 증가해서 약 10억 달러(약 13조 8,000억 원)를 기록했고, 연간 계약 가치는 15억 달러(약 20조 7,000억 원)에 달해요. 특히 Microsoft(마이크로소프트, 글로벌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로부터 넘겨받은 미군 증강현실 헤드셋 프로젝트는 최대 220억 달러(약 304조 원) 규모예요. |
|
|
Q : 왜 갑자기 Defense Tech에 이렇게 많은 투자가 몰리고 있나요? |
|
|
몇 가지 핵심적인 이유가 있어요.
첫째는 지정학적 긴장 상황이에요. 전 세계 국방 지출이 2023년에 2조 달러(약 2,760조 원)라는 기록적인 수준에 달했고, 미국이 8,770억 달러(약 1,210조 원)로 거의 40%를 차지해요.
둘째는 기술 혁신의 속도예요. 2022년 8월부터 2023년 8월까지 12개월 동안 AI 관련 국방 계약의 가치가 거의 1,200% 증가했어요. 이는 정말 폭발적인 성장이죠.
셋째는 투자 환경의 변화예요. 과거에는 윤리적 우려나 LP들의 압박 때문에 투자자들이 국방 기술을 기피했는데, 2022년 Anduril이 85억 달러 밸류에이션으로 15억 달러를 조달한 이후 투자자들의 태도가 완전히 바뀌었어요.
넷째는 민간 기업의 혁신 속도가 기존 국방업체보다 빠르다는 인식이에요. Anduril 같은 회사들은 기존의 Lockheed Martin(록히드마틴, 미국 항공우주 방산업체), Raytheon(레이시온, 미국 방산업체), Northrop Grumman(노스롭그루먼, 미국 항공우주 방산업체) 같은 전통적인 국방업체들을 파괴하려고 하는데, 계약을 받아서 만드는 방식이 아니라 자체 제품을 개발해서 판매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어요. |
|
|
Q : AI 기술이 Defense Tech 투자에서 왜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나요? |
|
|
AI가 현대 전장의 게임체인저가 되고 있기 때문이에요.
현재 전 세계 군용 AI 시장이 2024년에 133억 달러(약 18조 3,740억 원) 규모였는데, 향후 7년 내에 350억 달러(약 48조 3,000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돼요.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되는지 보면, Shield AI의 경우 "전장이 점점 더 드론 전쟁으로 지배되고 있고, 적들은 통신과 GPS를 차단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있어요.
현대 공군은 눈 먼 채로 비행하고 있는 거죠. Shield의 AI 파일럿은 GPS나 통신이 필요 없어요. 스마트하고 환경에 적응할 수 있거든요"라고 설명하고 있어요.
또한 AI는 자율성을 제공해요. Shield AI의 Hivemind는 무인 시스템들이 GPS나 통신 신호 없이도 작동할 수 있게 해주는데, 이는 점점 더 많은 군사 작전이 경쟁 환경에서 자율 기술에 의존하게 되면서 매우 중요한 능력이 돼요. |
|
|
Q : 기존 빅테크 기업들과 국방 기술 스타트업들의 접근 방식은 어떻게 다른가요? |
|
|
완전히 다른 철학을 가지고 있어요.
Microsoft나 Google 같은 기술 대기업들이 미국 정부에 군사 기술을 판매하는 것을 꺼려하는 반면, Anduril은 적극적으로 국방부와 다른 군사 기관들을 위한 AI 기반 군사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요.
이런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창업자들의 배경과 가치관 때문이에요. Palmer Luckey는 "나는 다른 누구보다도 오랫동안 기술업계에서 트럼프 진영에 있어왔다"고 말하면서, "우리가 세계에서 가장 강한 군대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은 정말 초당적이다"라고 강조했어요.
또한 기술적 접근 방식도 달라요. Riot Ventures(라이엇 벤처스)의 스티븐 마커스는 "Shield의 AI와 가장 비슷한 기술은 Tesla(테슬라, 전기자동차 및 자율주행 기술 개발사)의 자율주행 스택"이라고 비교했어요. 즉, 민간에서 검증된 AI 기술을 군사 목적으로 활용하는 거죠. |
|
|
Q : 투자자들은 국방 기술 스타트업에서 어떤 수익성을 기대하고 있나요? |
|
|
투자자들이 기대하는 수익성은 정말 높아요.
무엇보다 시장 규모가 엄청나게 크거든요. McKinsey 보고서에 따르면 국방 혁신 기회의 가치가 2,500억 달러(약 345조 원) 이상으로 추정돼요.
구체적인 수익 모델을 보면, 이들 회사들은 정부 계약에만 의존하지 않아요. Shield AI의 경우 Hivemind Enterprise를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업체들, 상업 회사들, 정부기관들에게 판매할 계획이에요. 즉, 군사용 기술을 민간에도 응용해서 시장을 확대하는 거죠.
또한 정부 계약의 규모가 정말 커요. Anduril의 경우 General Atomics(제너럴 아토믹스, 미국 항공우주 및 방산업체)와 함께 최대 90억 달러(약 124조 원) 규모의 자율 무인 항공기 제작 프로그램을 맡았고, 미 해군과는 10년간 6억 4,220만 달러(약 8,866억 원) 규모의 대드론 시스템 계약을 체결했어요. |
|
|
Q : 미국 외 다른 국가들의 국방 기술 투자 동향은 어떤가요? |
|
|
유럽도 상당히 적극적이에요.
유럽의 국방 분야 벤처캐피털 투자가 성장하고 있는데, 2024년에는 기록적인 10억 달러(약 13조 8,000억 원) 투자가 예상된다고 Dealroom에서 발표했어요.
2018년부터 국방 관련 기술에 대한 VC 투자가 30억 달러(약 41조 4,000억 원)에 달했는데, 이는 다른 NATO 국가들과 동맹국들의 투자를 25% 앞서는 수준이에요.
특히 NATO의 10억 유로(약 14억 8,000만 달러, 약 2조 440억 원) 규모의 이노베이션 펀드가 2024년 6월에 첫 번째 딥테크 투자를 발표했어요. 이는 국방 기술 분야에서는 첫 번째 다국가 벤처캐피털 이니셔티브예요. |
|
|
독일의 Helsing(헬싱, 군용 AI 소프트웨어 개발사) 같은 회사도 주목할 만해요.
2024년 7월에 General Catalyst(제너럴 카탈리스트, 혁신기술 투자사)가 주도해서 약 4억 8,900만 달러(약 6,754억 원)를 투자받으며 54억 달러(약 74조 5,200억 원) 밸류에이션을 기록했어요.
드론과 제트기의 무기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장 의사결정을 개선하는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어요. |
|
|
Q : 한국의 국방 기술 스타트업 투자 현황은 어떤가요? |
|
|
한국의 국방 기술 스타트업 투자 현황은 미국에 비해 상당히 뒤떨어져 있는 상황이에요.
국방 분야 지원 정책을 살펴보면, 국방기술진흥연구소에서 '방산혁신기업 100'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요.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년간 매년 20여개 기업씩, 총 100개 기업을 선정해서 육성하는 계획이에요. 우주, AI, 유·무인복합, 로봇, 반도체 등 국방 첨단전략산업분야의 우수한 중소·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요.
지원 규모는 2023년 예산 기준 300억 원(약 2,170만 달러) 수준이에요. 이는 미국의 단일 국방 기술 스타트업인 Shield AI가 한 번에 받는 투자액 2억 4,000만 달러와 비교해보면 정말 미미한 수준이죠.
정부 차원에서는 2022년 중소벤처기업부가 향후 5년간 2조 원(약 14억 달러) 이상의 국가·민간 펀드를 투입해서 약 1,000개의 첨단기술 기반 스타트업을 육성하겠다고 발표했어요. 하지만 이는 국방 분야에 특화된 것이 아니라 전체 딥테크 분야를 대상으로 한 거예요.
그래서 전 국내 Defense Tech 분야의 투자는 앞으로도 계속 암울할 전망이예요. |
|
|
Q : 한국이 미국처럼 국방 기술 투자를 늘려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
|
한국이 미국처럼 국방 기술 투자를 빠르게 늘려야 하는 이유는 매우 절실해요.
첫째, 우리나라도 지정학적 환경이 급변하고 있어요. 어찌 보면 이게 가장 커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계속 고도화되고 있고, 중국의 군사적 부상으로 인한 동북아시아 안보 환경이 더욱 불안정해지고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 첨단 국방 기술 확보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예요.
둘째, 기술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어요. 전 세계 군용 AI 시장이 2024년 133억 달러에서 향후 7년 내 350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한국은 이 흐름을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요.
셋째, 경제적 기회를 놓치고 있어요. 국방 기술은 민간 분야로 전환될 수 있는 이중용도(dual-use) 기술이 많아요. 미국의 인터넷, GPS, 터치스크린 등이 모두 군사 기술에서 출발해서 민간으로 확산된 대표적인 사례죠.
넷째, 국방 산업 생태계가 취약해요. 호주의 경우 스타트업을 포함한 중소기업이 호주 방위산업의 약 90%를 차지할 만큼 건강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어요. 반면 한국은 대기업 중심의 방산업체 구조로 되어 있어서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이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이에요.
마지막으로, 동맹국과의 기술 협력을 위해서도 필요해요. 미국이 AUKUS(미국·영국·호주 안보파트너십), Quad Investors Network 등을 통해 동맹국들과 첨단 국방 기술을 공유하는 추세인데, 한국도 이런 협력체계에 참여하려면 자체적인 기술 역량을 갖춰야 해요.
한국 정부와 민간 투자자들은 미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해서 국방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를 획기적으로 늘려야 해요. 특히 America's Frontier Fund처럼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는 투자 플랫폼을 구축하고, 국방 기술 스타트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시급해요.
지금 당장 행동하지 않으면 기술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고, 결국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 모두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어요. |
|
|
오늘 배우게 된 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볼께요. |
|
|
- 기술의 이중성 활용
민간에서 검증된 AI 기술을 군사 목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효과적인 투자 전략이에요. Tesla의 자율주행 기술이 군용 드론에 응용되는 것처럼, 하나의 기술로 두 시장을 타겟할 수 있어요. 그리고 민간 검증 시스템이 군용 시스템에 적용되면 그 파괴력은 몇 배가 될 수 있어요.
- 정부-민간 파트너십의 중요성
America's Frontier Fund처럼 비영리 구조를 통해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면,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투자가 가능해져요. 단순한 수익 추구를 넘어 국가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죠. 국가적 목표 달성과 수익 달성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이면서 효율적인 방식이예요.
- 타이밍의 중요성
지정학적 긴장이 높아지는 시기에 국방 기술에 투자하면 정부 지출 증가와 함께 시장이 급성장할 수 있어요. 2022년 이후 국방 기술 투자자들의 태도 변화가 이를 보여줘요. 방산 산업 자체가 상당히 진부하고 지루할 수 있는데 지금처럼 전 세계적으로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면 확실히 스타트업 입장에서는(물론 이러면 안되겠지만...) 수익 창출의 기회가 가시화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VC들도 분주할 수 밖에 없어요.
- 기존 산업의 파괴적 혁신
Anduril과 Shield AI처럼 전통적인 국방업체의 계약-개발 방식 대신 자체 제품 개발-판매 방식을 택하면, 더 빠른 혁신과 높은 수익성을 달성할 수 있어요. 후판매와 선판매의 차이인데 역시나 후판매가 성능에 대한 보증이나 납기 기간의 단축 등 여러 측면에서 제공자와 소비자가 모두 이익을 볼 수 있는 구조겠죠.
* 솔직히 국내 VC 씬에서는 국방 관련한 스타트업은 보기도 힘들고 있다고 해도 전혀 테크 기업으로 보여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두산에너빌리티' 등 대기업 계열의 Defense Tech 기업들만 눈에 띄지만 앞으로 다양한 스타트업들이 많이 생겨났으면 하는 바램이예요. |
|
|
"비주류VC"는 계속 스타트업 산업과 투자 업계에 대한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빠르고 신선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해요. 운영 중인 Threads와 뉴스레터를 구독해 주시면 큰 힘이 되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