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AI 스타트업들의 전성 시대이지요? 그런데 여기 AI 스타트업이 99% 문을 닫을 거라는 도발적인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도 누구보다 빠르게 신선한 투자업계의 정보를 전달해 드리는 "비주류VC" 예요.
오늘은 "비주류VC의 Exclusive Research Series"로 찾아뵙게 되었어요.
AI 스타트업들이 전성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그런데 이런 시기에 AI 스타트업들의 대멸종설을 예견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심지어 그들이 주장하는 근거 또한 납득이 갈 정도로 신빙성을 가지고 있답니다.
오늘은 AI 스타트업들의 멸종을 예고한 두 명의 분석가의 이야기를 들려드리도록 할께요.
Source :
- The AI Startup Crash Is Coming: Why Only 1% Will Thrive by 2026 (Medium) - Mehran Muslimi
- 99% of AI Startups Will Be Dead by 2026 — Here's Why (Medium) - Srinivas Rao
- Peter Thiel On The Seven Questions A Startup Must Answer (Medium) - Omar Ismail
- OpenAI-backed Ghost Autonomy shuts down (TechCrunch)
- Instagram co-founders' news aggregation startup Artifact to shut down (TechCrunch)
- AI Startups That Failed in 2024 And Why! (AIM Research) What happened to Artifact? (TechCrunch)
|
|
|
오늘의 첫 번째 주인공인 "Srinivas Rao"는 Unmistakable Creative의 창립자이자 유명 팟캐스트 호스트로, 2009년 비즈니스 스쿨을 졸업한 후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전향한 인물이에요.
그는 1999년 Sun Microsystems에서 인턴으로 근무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닷컴 버블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목격했으며, 이후 10년 넘게 700개 이상의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스타트업과 기술 업계의 변화를 관찰해왔어요.
Medium에서 5만 8천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그는 교육, 창업, 기술 트렌드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으로 유명해요. |
|
|
두 번째 주인공인 "Mehran Muslimi"는 UCLA에서 기술 앱 관련 석사학위를 취득(1994년)한 핀테크 전문가로, 현재 Senior Fintech Consultant로 활동하고 있어요.(혹시 조…조지 클루니..?)
블록체인, DeFi, NFT, 사이버보안 분야의 전문가로서 걸프 지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의 키노트 스피커를 역임하는 등 중동 지역 핀테크 생태계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이에요.
Prince Edward Island에서의 교육 배경도 가지고 있으며, Medium에서 161명(읭...? 너무 적은 거 아닌가요...?)의 팔로워를 보유하면서 AI, 핀테크, 블록체인 관련 분석 글을 꾸준히 발표하고 있어요. 그래도 꾸준하다시니 뭐.... |
|
|
오늘의 주인공들이 정말 중요한 2개의 글을 게재한 곳은 "Medium" 이라는 플랫폼이예요. 약간 우리나라의 "Brunch"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어요.
Medium은 2012년 Twitter 공동창업자 Evan Williams가 설립한 온라인 출판 플랫폼으로,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작가들이 다양한 주제에 대해 심도 있는 글을 발표하는 공간이에요.
특히 기술, 스타트업, 비즈니스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인사이트들이 많이 공유되며, 알고리즘 기반 추천 시스템을 통해 독자들에게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어요. |
|
|
Q : 99% 대멸종이라니 너무 충격적인데, 라오와 무슬리니는 무슨 근거로 이런 얘길 한 건가요? |
|
|
Medium에서 Srinivas Rao가 "99% of AI Startups Will Be Dead by 2026 — Here's Why"라는 제목으로 발표했고(좋아요가 3.7천개 이상으로 나오네요), Mehran Muslimi도 "The AI Startup Crash Is Coming: Why Only 1% Will Thrive by 2026"이라는 분석을 내놨어요.(요건 좋아요 숫자가 안 나오네요...인기가 없었나...;;;)
두 분석 모두 90년대 닷컴 버블과의 유사성을 지적하면서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시했어요. Rao는 자신이 Sun Microsystems(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 제조사)에서 인턴으로 일했던 99년 당시 101번 고속도로를 지나며 봤던 AltaVista(알타비스타, 초기 검색엔진), Excite(익사이트, 포털 사이트) 같은 회사들의 광고판을 예로 들면서, 2001년까지 이들이 모두 사라진 것처럼 현재 AI 스타트업들도 같은 운명을 맞을 것이라고 주장했어요.
특히 흥미로운 점은 당시 Idealab(아이디어랩,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이 100개 이상의 회사를 런칭했지만 대부분이 사라진 반면, Y Combinator(와이콤비네이터,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는 다른 접근법으로 Stripe(스트라이프, 온라인 결제 서비스), Dropbox(드롭박스, 클라우드 스토리지), Airbnb(에어비앤비, 숙박 공유 플랫폼) 같은 인프라 기업들을 배출했다는 분석이에요. |
|
|
Q : 닷컴 버블과 비교하는 건 이해했는데, 분석가들이 언급한 Peter Thiel의 7가지 질문이라는 게 AI 스타트업 실패와 어떤 관련이 있는 건가요? |
|
|
(아~~ 이 책은 뭐 바이블이죠 바이블!!!....정작 저는 안 읽어봤는데 제목만 들어본...올해 안으로 꼭 읽어보겠습니다...)
Peter Thiel(피터 틸, 페이팔 공동창업자)이 저서 "Zero to One"에서 제시한 7가지 질문은 스타트업 성공의 핵심 지표로 여겨지는데, 현재 대부분의 AI 스타트업들이 이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어요.
7가지 질문은 다음과 같아요
1) 기술 질문 : 점진적 개선이 아닌 혁신적 기술을 만들 수 있는가? - 10배 이상 나은 기술이어야 해요.
2) 시기 질문 : 지금이 사업을 시작할 적절한 시기인가? - 인프라 준비상태, 사회적 규범, 정부 규제 등을 고려해야 해요.
3) 독점 질문 : 작은 시장에서 큰 점유율로 시작하고 있는가? - 경쟁이 심한 큰 시장보다 독점 가능한 작은 시장을 선택해야 해요.
4) 사람 질문 : 올바른 팀을 갖추고 있는가? - 특히 AI 분야는 소수의 뛰어난 인재가 성패를 좌우해요.
5) 유통 질문 : 제품을 만들 뿐만 아니라 전달할 방법이 있는가? - 세일즈와 마케팅이 제품만큼 중요해요.
6) 지속성 질문 : 10년, 20년 후에도 시장 지위를 방어할 수 있는가? - 장기적 경쟁 우위를 확보해야 해요.
7) 숨겨진 비밀 질문 :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독특한 기회를 발견했는가? - 숨겨진 진실을 발견해야 해요. AI 스타트업들의 문제는 대부분이 OpenAI(오픈AI, 생성형 AI 모델 개발사) API를 래핑한 형태라서 혁신적 기술이 아닌 점진적 개선에 불과하고, 작은 시장 독점이 아닌 거대한 경쟁 시장에 뛰어들며, 장기적 방어 가능성도 낮다는 점이에요. |
|
|
Q : Peter Thiel의 7가지 질문에 답하지 못해 망한 AI 스타트업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
|
가장 극적인 사례는 Olive AI(올리브AI, 의료 AI 자동화 솔루션)예요.
2023년 10월 31일 완전히 문을 닫았는데, 이 회사는 2021년 4억 달러(약 6천억원) 투자로 40억 달러(약 6조원) 밸류에이션을 받았던 '유니콘' 기업이었어요. 총 9억 2천만 달러(약 1조 4천억원)를 조달했지만 결국 사업부문들을 Waystar(웨이스타, 의료 수익관리 솔루션)와 Humata Health(휴마타헬스, 의료 AI 스타트업)에 매각하고 나머지는 청산했어요. |
|
|
흥미로운 점은 Humata Health의 CEO가 Jeremy Friese인데, 이 사람은 원래 Olive가 2020년 12월 1억 2천만 달러(약 1천 8백억원)에 인수했던 Verata Health(베라타헬스, 사전승인 자동화)의 창업자였어요.
즉, 자신이 창업한 회사를 Olive에 팔았다가 Olive가 망하자 다시 사업부를 사들여서 새 회사를 만든 셈이에요.
한 전직 직원은 "Verata CEO가 자신의 회사를 다시 사들인 격"이라고 표현했어요. (뱉었다 다시 줏어먹은 셈...) |
|
|
Q : Olive AI 말고도 2024년에 망한 다른 AI 스타트업들은 어떤 게 있을까요? 특히 최근 사례들이 궁금해요. |
|
|
2024년 4월에 문을 닫은 Ghost Autonomy(고스트 오토노미, 자율주행 AI 스타트업)가 주목할 만한 사례예요.
2017년 설립된 이 회사는 총 2억 2천만 달러(약 3천 3백억원)를 조달했고 49개의 특허를 보유했으며, 심지어 OpenAI로부터 500만 달러(약 75억원) 투자를 받기도 했어요.
Mountain View, Dallas, Sydney에 100명의 직원을 두고 있었죠. 하지만 여러 번 사업 방향을 바꾸면서 실패했어요. 처음에는 2020년까지 개인 차량용 자율주행 킷을 출시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실패했고, 2021년에는 충돌 방지 기술로 피벗했어요.
마지막에는 OpenAI와 파트너십을 맺고 멀티모달 대형 언어 모델을 자율주행에 적용하려 했지만, 업계에서 이 접근법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어요.
CEO John Hayes는 "장기적 수익성에 대한 경로가 불확실하고 자율주행 개발과 상용화에 필요한 장기 투자 때문"이라고 폐업 이유를 밝혔어요. (결국 이것 저것 다 찍어 먹어보다가 마지막에 와사비를 씹어먹고 망한 셈...) |
|
|
Q : Ghost Autonomy도 많은 투자를 받았는데 망했네요. 그런데 Instagram 창업자들이 만든 AI 앱도 망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그건 어떻게 된 건가요? |
|
|
Artifact(아티팩트, AI 뉴스 추천 앱)는 2024년 1월에 폐업을 발표한 흥미로운 사례예요.
Instagram(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SNS) 공동창업자 Kevin Systrom과 Mike Krieger가 2023년 1월에 런칭한 "뉴스계의 TikTok"을 목표로 한 AI 기반 뉴스 앱이었어요. 초기에는 10만 다운로드를 기록했지만 2023년 10월에는 신규 설치가 1만 2천 건으로 급감했어요. 더 치명적인 문제는 국제적 확산 실패였는데, 미국이 전체 다운로드의 44%를 차지한 반면 다른 어떤 국가도 4%를 넘지 못했어요.
이는 유명한 창업자들의 브랜드 파워가 미국 테크계 밖에서는 별로 효과가 없다는 걸 보여줬어요. 더 큰 문제는 앱의 정체성이 계속 바뀐 점이에요. 처음에는 SmartNews(스마트뉴스, 뉴스 큐레이션 앱) 같은 뉴스 읽기 앱이었다가, Pinterest(핀터레스트, 이미지 공유 플랫폼) 같은 링크 공유 플랫폼이 되었다가, Twitter/X(트위터/엑스, 마이크로블로깅 SNS) 같은 텍스트 콘텐츠 플랫폼이 되기도 했어요.
심지어 장소 추천 기능까지 추가해서 실제 세계의 추천 엔진이 되려고 시도했어요. Kevin Systrom은 "핵심 사용자 그룹이 좋아하는 것을 만들었지만, 시장 기회가 지속적인 투자를 정당화할 만큼 크지 않다"고 인정했어요. (Instagram 만든 사람이 다른 거 하다가 결국 Instagram화 되어 망한 셈...) |
|
|
Q : 스타트업들이 자주 망하긴 하는데, 오늘의 두 주인공인 분석가들이 언급한 인프라 의존성 문제가 또 다른 화두가 되고 있나봐요? 이게 구체적으로 어떻게 위험한 건가요? |
|
|
현재 AI 스타트업 생태계는 삼중 종속 구조를 이루고 있어요.
대부분의 AI 스타트업들이 OpenAI API에 의존 → OpenAI는 Microsoft(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및 소프트웨어 기업) Azure 클라우드에 의존 → Microsoft는 NVIDIA(엔비디아, GPU 반도체 제조사) GPU에 의존하는 구조예요.
이는 단일 실패 지점이 여러 개 존재한다는 뜻이에요.
이처럼 많은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우리는 사실상 OpenAI의 대리점"이라고 자조적으로 표현하고 있을 정도로 독립성이 부족한 상황이에요. |
|
|
Q : 인프라 의존성도 문제인데, 그런데 AI 시스템 자체의 신뢰성도 문제가 되고 있다고 들었어요. 어떤 사례들이 있나요? |
|
|
AI 시스템의 예측 불가능성과 신뢰성 문제는 투자자들에게 또 다른 큰 우려 요소가 되고 있어요.
실제로 2025년 7월 21일에는 Replit(리플릿, 온라인 코딩 플랫폼) AI 에이전트가 실수로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삭제하고 "성공적으로 실행했다"고 거짓 보고하는 사건이 발생했어요. 이런 사건은 검증되지 않은 자율 에이전트의 약점을 드러내면서 개발 커뮤니티에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어요.
|
|
|
더 재미있는 사례는 Anthropic(앤스로픽, Claude AI 개발사)이 사무실 벤딩머신을 관리하는 AI 에이전트 'Claudius'를 만들었는데, 이 에이전트가 완전히 엉뚱한 행동을 했어요.
금속 큐브로 자판기를 채우려 하고, 가짜 Venmo 주소를 만들어내고, 심지어 "로비에서 파란 블레이저와 빨간 넥타이를 입고 있으니 찾아달라"며 보안팀에 스팸 메시지를 보냈어요.
이런 예측 불가능한 동작들은 AI 시스템을 실제 비즈니스에 적용할 때의 위험성을 보여줘요. 특히 자율 에이전트들이 중요한 업무를 처리할 때 이런 오류가 발생하면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서, 많은 기업들이 AI 도입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어요.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런 시스템 신뢰성 문제가 AI 스타트업들의 상용화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키우고 있어요. |
|
|
Q : 인프라 의존이나 신뢰성도 문제지만, AI 스타트업들이 돈을 너무 많이 태우는 것 같은데 자금 조달 구조에는 어떤 문제가 있는 건가요? |
|
|
AI 스타트업들의 자금 조달 구조는 근본적으로 불균형해요.
최신 AI 모델 훈련에는 평균 500만 달러(약 75억원)가 소요되고, 컴퓨팅 파워와 데이터 확보에 막대한 선행 투자가 필요한 반면 실제 수익 발생까지는 평균 3.5년이 걸려요.
더 흥미로운 사례는 2025년 7월에 Mira Murati(미라 무라티, 전 OpenAI CTO)가 설립한 Thinking Machines Lab(싱킹머신즈랩, 자율 AI 시스템 개발사)가 Andreessen Horowitz(안드리센 호로위츠, 벤처캐피털) 주도로 20억 달러(약 3조원) 투자를 유치하며 100억 달러(약 15조원) 밸류에이션을 받은 건이에요.
아직 제품도 없는 상태에서 이런 밸류에이션을 받는다는 것 자체가 시장의 과열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반대 사례로는 2024년에 254개의 벤처 지원 스타트업이 1분기에만 파산 신청을 했는데, 이는 2023년 대비 60% 증가한 수치이고 2019년 대비 7배 증가한 수치예요.
Jeremy M Williams의 분석에 따르면 AI 스타트업들은 일반 테크 스타트업보다 2배 빠른 속도로 망하고 있어요. |
|
|
Q : 최근 동향을 보면 결국 사람이 가장 중요한 것 같은데, 빅테크들의 AI 인재 확보 경쟁이 스타트업들에게 왜 이렇게 치명적인 건가요? |
|
|
AI 인재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압도적으로 초과하면서 연봉 인플레이션이 극심해졌고, 이는 99% 멸종 예측의 핵심 근거 중 하나예요.
Google, Meta, OpenAI 같은 기업들이 스타트업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는데, 제공할 수 있는 조건이 차원이 달라요. 스타트업들은 스톡옵션이나 미래 가치를 제시하지만, 빅테크들은 즉시 현금화 가능한 높은 연봉과 안정성을 제공해요.
Ghost Autonomy 같은 경우도 뛰어난 기술팀을 확보했지만 결국 자금 문제로 팀을 유지할 수 없었어요. Peter Thiel이 지적한 것처럼 클린테크 회사들을 분석해보면 엔지니어가 아닌 "양복 입은 남자들"이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AI 분야에서는 반대로 기술은 뛰어나지만 비즈니스 능력이 부족한 팀들이 많아요.
AI 분야는 다른 영역과 달리 소수의 뛰어난 인재가 프로젝트 성패를 좌우하는 경우가 많아서, 핵심 인재 한 명의 이탈이 전체 프로젝트를 무산시키는 경우가 빈번해요.
그래서 빅테크들이 사람을 빼내면 한 스타트업이 무너지는 상황이 생길 수 있는 것이지요. |
|
|
Q : 이런 상황들을 보면 정말 99% 멸종이 허황된 얘기만은 아닌 것 같은데, VC 입장에서는 투자 전략을 어떻게 조정해야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
|
|
VC들은 AI 스타트업 투자에서 완전히 새로운 실사 기준을 적용해야 해요.
99% 실패율을 고려하면 기존보다 훨씬 더 분산투자가 필요하고, 개별 투자 금액을 줄이고 투자 대상 수를 늘려야 해요. Peter Thiel의 7가지 질문을 체크리스트로 활용해서 체계적으로 평가해야 하는데, 특히 엔지니어링 질문에서는 10배 이상 나은 기술인지, 독점 질문에서는 작은 시장에서 큰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엄격하게 봐야 해요.
기술 스택의 독립성을 철저히 검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단순히 OpenAI API를 래핑한 서비스인지, 자체적인 기술적 해자가 있는지를 면밀히 살펴봐야 해요. Ghost Autonomy처럼 기술적으로는 훌륭하지만 여러 번 피벗하면서 일관성을 잃는 기업들을 피해야 하고, Artifact처럼 명확한 정체성 없이 계속 기능을 추가하는 기업들도 위험해요.
단위 경제학도 더욱 엄격하게 분석해야 하는데, AI 서비스의 경우 사용량이 늘수록 비용도 함께 늘어나는 구조가 많기 때문에 스케일링 시의 수익성을 정확히 계산해야 해요. |
|
|
오늘 배우게 된 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볼께요. |
|
|
- 99% 멸종 예측은 구체적 근거와 최근 사례들로 입증되고 있음
Medium의 전문 분석가들이 제시한 예측이 실제로 현실화되고 있어요. 2024년 1분기에만 254개 벤처 지원 스타트업이 파산했고, 이는 2023년 대비 60% 증가한 수치예요. Ghost Autonomy는 2억 2천만 달러를 조달하고 OpenAI 투자까지 받았지만 2024년 4월에 문을 닫았고, Artifact는 Instagram 창업자들이 만든 앱임에도 사용자 확보에 실패해 2024년 1월 폐업을 발표했어요. 이런 구체적 사례들이 99% 멸종 예측이 단순한 비관론이 아니라 데이터 기반의 현실적 전망임을 보여주고 있어요.
- Peter Thiel의 7가지 질문이 AI 스타트업 생존의 필수 체크리스트가 됨
엔지니어링, 타이밍, 독점, 인재, 유통, 지속성, 비밀이라는 7가지 질문은 AI 스타트업의 생존 가능성을 예측하는 가장 정확한 도구가 되고 있어요. Ghost Autonomy는 기술적으로는 뛰어났지만 지속성 질문에서 실패했고, Artifact는 독점 질문에서 실패해서 기존 뉴스 앱들과의 차별화에 실패했어요. 특히 10배 이상 나은 기술이어야 한다는 엔지니어링 질문은 대부분의 OpenAI API 래핑 스타트업들이 통과하지 못하는 핵심 기준이에요. VC들은 이 7가지 질문을 투자 실사의 필수 체크리스트로 활용해야 해요.
- 명확한 정체성과 집중이 생존의 핵심 요소임
Artifact의 실패는 명확한 정체성 부족이 얼마나 치명적인지를 보여줘요. 뉴스 앱에서 시작해서 소셜 네트워크, 링크 공유 플랫폼, 장소 추천 서비스까지 계속 기능을 추가하면서 사용자들이 앱의 정확한 용도를 파악하지 못했어요. Ghost Autonomy도 개인 차량용 자율주행 킷에서 충돌 방지 기술로, 다시 멀티모달 LLM 기반 자율주행으로 계속 피벗하면서 일관성을 잃었어요. 성공하는 스타트업들은 명확한 가치 제안과 집중된 실행력을 가지고 있어요.
- 현실적 시장 검증이 기술적 우수성보다 우선되어야 함
Artifact는 초기 10만 다운로드 후 1만 2천 건으로 급감했고, 미국 외 지역에서는 4% 이하의 점유율만 확보했어요. 이는 기술이 아무리 뛰어나도 실제 시장 수요가 없으면 실패한다는 것을 보여줘요. Ghost Autonomy도 49개의 특허와 뛰어난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상용화 경로를 찾지 못했어요.
* AI 스타트업 투자에서는 기존의 성장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생존 가능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보수적 접근이 필요해요. 99% 실패율이라는 극단적 상황에서는 Peter Thiel의 7가지 질문을 체계적으로 활용한 실사와 더 넓은 포트폴리오 분산이 핵심 전략이 되어야 해요. 특히 명확한 정체성과 현실적 시장 검증 능력을 갖춘 기업들을 선별하는 안목을 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됐어요. 앞으로도 갈 길이 멀군요...!!! |
|
|
"비주류VC"는 계속 스타트업 산업과 투자 업계에 대한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빠르고 신선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해요. 운영 중인 Threads와 뉴스레터를 구독해 주시면 큰 힘이 되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