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 호로위츠는 세계 VC업계를 선도하는 a16z의 창업자예요. 벤은 전통적인 VC모델은 이미 끝났고 기존의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도 누구보다 빠르게 신선한 투자업계의 정보를 전달해 드리는 "비주류VC" 예요.
오늘은 "비주류VC의 Inside Capital Series"로 찾아뵙게 되었어요.
벤처캐피탈리스트들은 모두 똑똑해서 성공한다고 생각하시나요? Andreessen Horowitz의 벤 호로위츠는 이런 통념을 정면으로 부정해요. 그는 "똑똑한 투자자들의 집합"은 이미 끝났다고 단언하며, 앞으로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는 VC만 살아남을 것이라고 경고해요.
그렇다면 기존 VC 모델의 치명적 결함은 무엇이고, 새로운 승자가 되는 조건은 과연 무엇일까요?
이런 거장의 말은 늘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죠. 오늘은 전통적인 VC모델의 죽음과 앞으로 나타날 VC 산업 트렌드에 대한 벤 호로위츠의 인사이트를 소개해드리도록 할께요. |
|
|
(Source : David Weisburd Youtube channel)
벤의 인사이트를 알아보기 위해 오늘은 David Weisburd와의 인터뷰를 소개해 드릴께요.
David Weisburd는 10X Capital의 공동창업자이자 벤처캐피탈 공동대표로, "How I Invest with David Weisburd" 팟캐스트를 운영하고 있어요.
이 팟캐스트는 세계 최고의 기관투자자들을 인터뷰하는 프로그램으로, Ford Found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Endowment, CalPERS, Stepstone 등 유명 LP들이 게스트로 출연했답니다.
10X Capital은 대체투자 전문 회사(Alternative Asset Management)로 500개 이상의 포트폴리오 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AI, 블록체인, 핀테크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고 있어요.
David는 이민자 출신으로 수백 달러만 가지고 미국에 왔지만, 현재는 세계에서 가장 정교한 투자자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답니다.
오늘은 David Weisburd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의 "The Classic VC Model IS DEAD" 영상의 엑기스만 뽑아서 소개해 드리도록 할께요.
아래 내용은 Q&A 형식으로 전해드림을 미리 알려드려요.
Source :
- Turpentine VC Podcast - Ben Horowitz Interview "The Classic VC Model is Dead"
- How I Invest with David Weisburd YouTube Channel
- Andreessen Horowitz Official Website Y Combinator Official Website Sequoia Capital Official Website
|
|
|
Q : 단도직입적으로 물어볼께요. 전통적인 VC 모델이 왜 죽었다고 보시나요? |
|
|
(Source : David Weisburd Youtube channel)
전통적인 VC는 단순히 똑똑한 투자자들의 집합이었어요.
하지만 이런 모델은 이미 한계에 도달했다고 봅니다. 과거에는 연간 15개 회사만이 1억 달러(약 1,500억원) 규모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었고, 벤처캐피탈을 도제식 학습으로만 배울 수 있는 소규모 산업이라고 생각했어요.
이런 통념들은 당시에는 맞았을지 모르지만, 소프트웨어가 모든 산업의 핵심이 되면서 모든 게 바뀌었거든요. 소프트웨어 산업이 100배 성장하면서 15개 회사가 150개 회사가 되었고, 성공하는 벤처캐피탈이 되려면 훨씬 더 커져야 하는 상황이 된 거예요.
전통적인 파트너십 구조로는 이런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워요. |
|
|
Q : 그럼 새로운 VC 모델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요? |
|
|
새로운 모델은 창업자 서비스 우선이어야 해요.
투자자팀을 먼저 구성하고 나서 무엇을 할지 알아가는 게 아니라, 창업자들에게 무엇을 제공할 것인가부터 시작하는 거예요. a16z의 경우 각 시장마다 적절한 플랫폼과 그 시장에 집중하는 투자팀을 가진 구조로 발전했어요.
이게 벤처캐피탈의 미래라고 생각합니다. 흥미로운 경쟁자는 이제 순수 크립토 VC, 순수 게임 VC, 순수 AI VC 같은 전문화된 회사들이에요. 모든 것을 다 하려는 전통적인 제너럴리스트 VC보다는 특정 분야에 특화된 회사들이 더 강력해질 거예요 |
|
|
Q : VC들의 전통적인 파트너십 구조의 무엇이 문제인가요? |
|
|
(Source : Suits)
전통적인 VC는 로펌처럼 경제적 이익과 통제권을 모두 공유하는 파트너십 구조예요.
하지만 이런 구조로는 조직이 커지면서 필요한 변화를 만들어내기 어려워요. 50명 규모의 구조는 500명 규모에서는 작동하지 않거든요. 구조를 바꾸려면 누군가는 권력을 잃게 되고, 정치적 갈등과 논쟁이 생겨요.
하지만 공유된 통제권 구조에서는 이런 어려운 결정을 내리기 정말 힘들어요.
저희는 경제적 이익은 공유하되 통제권은 중앙집권화한 다른 구조를 채택했어요. 이렇게 하면 정치적 갈등 없이도 조직 구조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거든요. |
|
|
Q : 시장 규모 변화가 VC 모델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
|
|
과거에는 시장에서 1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회사가 15개로 고정되어 있다고 믿었어요.
그럼 4억 달러(약 6,000억원) 펀드가 적절했죠. 하지만 소프트웨어가 모든 산업의 핵심이 되면서 15개가 150개가 되었다면, 이제는 40억 달러(약 6조원) 펀드가 필요할 수도 있어요. 같은 비율로 이기려면 말이에요. 전통적인 소규모 VC들은 여전히 예전 통념을 믿고 있어요. Benchmark(벤치마크, 벤처캐피탈)는 여전히 작은 펀드로 더 나은 수익률을 낼 수 있다고 믿고 있죠.
하지만 저희는 시장이 근본적으로 확장되었다고 보고, 그에 맞춰 펀드 규모를 조정했어요. 실제로 저희의 큰 펀드들이 작은 펀드들보다 때로는 훨씬 더 나은 성과를 내고 있어요. |
|
|
Q : 정말 궁금한 부분은 이건데요...미래의 VC 생태계는 어떻게 될까요? |
|
|
향후 5-10년 동안은 두 가지 모델만 살아남을 것 같아요.
첫 번째는 자원과 자본을 동원할 수 있고 스마트 머니로 인정받는 최고급 브랜드들이에요. 저희나 Sequoia Capital(세쿼이아 캐피탈, 글로벌 VC) 같은 회사들 말이죠.(결국 자기네는 잘 먹고 잘 살 거라는 강한 확신을...;;;)
두 번째는 시장의 매우 특정한 부분에 특화되어 있고, 그 네트워크를 알고 있으며, 정말 훌륭한 전문 지식을 가진 회사들이에요.
이들은 아마 더 초기 단계에 집중할 것 같아요.
이 두 가지 외의 모든 것은 좀 더 의문스럽다고 봅니다.
단순히 똑똑한 투자자들의 집합인 전통적인 VC는 이미 끝났다고 생각해요. |
|
|
Q : 혹시 벤처 스튜디오 모델은 어떻게 보시나요? |
|
|
벤처스튜디오 모델의 가장 큰 문제는 단순한 아이디어가 아니라 아이디어 실현 과정이라는 점이에요.
아이디어 실현 과정을 헤쳐나가는 건 자신의 아이디어가 아니면 매우 어려워요. 이는 회사를 만들 최고의 방법보다는 스튜디오 책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역량에 맞춰 설계된 것 같아요. 그래서 이 모델이 정말 작동할 수 있을지 의문이에요.
Paul Graham(폴 그레이엄, Y Combinator 공동창립자)의 천재성은 아이디어가 그의 것이 아니었다는 점이에요. 이게 인큐베이터와 액셀러레이터의 차이였고, 올바른 모델임이 증명되었어요. 왜냐하면 회사를 만드는 사람에게는 그 아이디어가 자신의 것이어야 하거든요. |
|
|
Q : AI 투자에서 새로운 VC 모델의 우위가 드러나게 될까요? |
|
|
AI는 완전히 새로운 차원의 기회예요.
지금까지 컴퓨터는 계산기처럼 정확한 답만 낼 수 있었어요. 하지만 AI는 사람처럼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된 거거든요. 기존 컴퓨터로는 그림을 그리거나, 시를 쓰거나,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게 불가능했는데, AI는 이 모든 걸 할 수 있어요.
이런 혁명적인 변화는 정말 전에 본 적이 없어요.
그래서인지 AI 창업자들은 기존 창업자들과 달라요. 많은 사람이 엔지니어가 아니라 연구자들이거든요. 완전히 다른 부류의 사람들이 회사를 시작하고 있고, 그들이 성공하려면 다른 종류의 지원이 필요해요. 전통적인 VC 모델로는 이런 새로운 유형의 창업자들을 제대로 지원하기 어려울 거예요.
새로운 전문성, 새로운 네트워크, 새로운 종류의 도움이 필요하거든요. |
|
|
Q : 정부 규제가 새로운 VC 모델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 있을까요? |
|
|
현재 가장 큰 위협은 규제 환경이에요.
혁신을 저해하는 정부 정책들 때문에 크립토 벤처캐피탈의 상당 부분이 이미 해외로 이전되고 있어요. 미국이 재산권과 화폐의 인터넷을 이렇게 이른 단계에 포기한다는 건 정말 터무니없는 일이에요.
AI에서도 같은 일이 일어나고 있고, 바이오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예요. FTC(미국 연방거래위원회)가 최근 바이오 스타트업과 대형 제약회사 간의 거래를 막으려고 소송을 제기했는데, M&A 시장이 없으면 신약 개발에 투자하는 게 거의 불가능해져요
새로운 과학, 새로운 금융 기술, 가상 세계의 새로운 재산권을 불법화하려는 건 정말 이해하기 어려운 입장이에요. |
|
|
Q : 새로운 VC 모델의 성공 조건은 무엇일까요? |
|
|
가장 중요한 건 회사의 목표를 진심으로 믿는 사람들로 조직을 만드는 거예요.
저희는 일부러 연봉을 낮게 줘서 정말로 저희 회사의 비전에 동참하고 싶은 사람들만 오게 해요.(그냥 열정페이를 강요하는 것 아닌가요...?) 또한 대부분의 VC는 "잘 되는 회사들에만 시간을 쓰라"고 하지만, 저희는 투자한 모든 회사를 끝까지 도와준다는 원칙을 지켜요.
저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좋은 평판"이에요. 창업자들 사이에서 "a16z는 정말 믿을 만하다"는 소문이 나야 최고의 창업자들이 저희를 찾아오거든요. 단순히 숫자만 보고 수익성 높은 회사에만 집중한다면 이런 철학을 이해하기 어려울 거예요. 하지만 그래서 오히려 저희에게는 도움이 되는 거죠. |
|
|
오늘 배우게 된 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볼께요. |
|
|
- 전통적인 파트너십 구조가 변화 적응을 막는 근본 원인임
기존 VC의 로펌 스타일 파트너십 구조는 경제적 이익과 통제권을 모두 공유하는 방식이었어요. 하지만 이런 구조에서는 조직이 성장하면서 필요한 구조적 변화를 만들어내기 매우 어려워요. 50명 규모의 조직 구조는 500명 규모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데, 구조를 바꾸려면 누군가는 권력을 잃게 되고 정치적 갈등이 발생하거든요. 공유된 통제권 구조에서는 이런 어려운 결정을 내리는 게 거의 불가능해요. 반면 새로운 모델에서는 벌어들인 돈은 모두 함께 나눠 갖지만, 중요한 결정은 한 명이나 소수가 빠르게 내릴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져요. 기존 방식이 "모든 파트너가 돈도 함께 나누고 결정도 함께 내리는" 방식이었다면, 새로운 방식은 "돈은 함께 나누지만 결정은 리더가 빠르게 내리는" 방식인 거죠.
- 시장 규모 폭발이 펀드 운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꿈
과거 벤처캐피탈 업계는 연간 15개 회사만이 대형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통념에 기반해 있었어요. 하지만 소프트웨어가 모든 산업의 핵심이 되면서 이 숫자가 150개로 10배 늘어났고, 이에 따라 펀드 규모도 4억 달러(약 6,000억원)에서 40억 달러(약 6조원)로 커져야 하는 상황이 되었어요. 전통적인 소규모 VC들은 여전히 예전 통념을 믿고 있지만, 새로운 모델의 VC들은 시장 확장에 맞춰 펀드 규모를 조정하고 있어요. 실제로 큰 펀드들이 작은 펀드들보다 더 나은 성과를 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요.
- 전문화된 플랫폼이 제너럴리스트를 압도하게 됨
미래의 벤처캐피탈 생태계에서는 두 가지 모델만 살아남을 것으로 예상돼요. 첫째는 막대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최고급 브랜드 VC들이고, 둘째는 특정 분야에 완전히 특화된 전문 VC들이에요. 순수 크립토 VC, 순수 AI VC, 순수 게임 VC 같은 전문화된 회사들이 전통적인 제너럴리스트 VC들보다 더 강력한 경쟁력을 갖게 될 거예요. 모든 것을 다 하려는 기존 방식으로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경쟁하기 어려워진 거죠.
- 미션 중심 문화가 새로운 경쟁 우위의 핵심이 됨
새로운 VC 모델에서는 단순히 높은 연봉으로 인재를 유치하는 것보다 미션에 진정으로 동참하는 사람들을 선별하는 것이 더 중요해져요. 평판을 기반으로 한 경쟁 우위를 구축하려면 모든 포트폴리오 회사를 끝까지 지원하는 철학이 필요하고, 이는 스프레드시트적 사고와는 정반대의 접근법이에요. 하지만 이런 가치 중심 접근이 결국 최고의 창업자들을 끌어들이는 차별화 요소가 되고 있어요.
* VC로써는 전통적인 파트너십 구조의 한계를 인식하고 더 유연한 조직 구조를 만들어가야 할 것 같아요. 또한 특정 분야에 깊이 특화하거나 아니면 최고급 브랜드로 포지셔닝하는 명확한 전략적 선택이 필요하고요. 무엇보다 단순한 자본 제공자를 넘어서 창업자들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하면서, 미션과 가치를 중심으로 한 조직 문화를 구축해나가는 방향으로 접근해보면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게 됐어요. 굉장히 달성하기 힘들엉 보이지만 미래의 VC는 이런 형태가 될 것 같다고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
|
|
"비주류VC"는 계속 스타트업 산업과 투자 업계에 대한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빠르고 신선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해요. 운영 중인 Threads와 뉴스레터를 구독해 주시면 큰 힘이 되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