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의 창업도 어렵지만 정말 어려운 것은 Exit죠? 여기 4년 동안 수익 없는 서비스를 운영하다가 성적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도 누구보다 빠르게 신선한 투자업계의 정보를 전달해 드리는 "비주류VC" 예요. 오늘은 "비주류VC의 Inside Capital Series"로 찾아뵙게 되었어요.
대학 기숙사 리뷰 사이트로 시작해서 6자리 수 매각까지, 정말 가능한 이야기일까요? 수익 모델도 없던 웹사이트가 어떻게 AI 회사의 관심을 끌게 되었을까요? 오늘은 정말 특별한 매각 스토리를 들려드릴게요. |
|
|
@jedcal 채널을 운영하는 Jed는 24세에 Rate My Dorm이라는 웹사이트를 시작한 창업자예요. 그는 자신의 창업 과정을 유튜브에서 완전히 공개하며 투명하게 공유해왔어요.
오늘은 Jed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의 "I sold my startup for $100,000" 영상의 엑기스만 뽑아서 소개해 드리도록 할께요.
아래 내용은 Q&A 형식으로 전해드림을 미리 알려드려요.
Source:
- YouTube Channel: @jedcal
- Video Title: "I sold my startup for $100,000"
- Jenny AI Company Information
- Rate My Dorm Website Traffic Data
|
|
|
Q : Rate My Dorm이 어떤 서비스였고 왜 누군가 사려고 했나요? |
|
|
(Source : https://www.ratemyprofessors.com/)
Rate My Professors의 기숙사 버전이라고 보시면 돼요.
(와...유학 시절 정말 잘 썼던 서비스인데, 아직도 잘 돌아가고 있군요!)
Jed가 2021년 코로나 시기에 24세 나이로 부트스트랩으로 시작해서 2022년 5월에 런칭했어요. 월 평균 40,000명 방문자에 시즌별로 ±20,000명 변동이 있었지만 명확한 수익 모델은 없었어요.
Jenny AI(제니, AI 기반 학생 연구 및 글쓰기 도구)의 창업자 David가 Instagram DM으로 연락했어요. Jenny는 이미 2023년 Rate My Dorm의 첫 스폰서였거든요.
핵심은 타겟 고객이 완벽히 일치했다는 점이에요.
Rate My Dorm 방문자는 100% 미국 대학생이고, Jenny는 학생용 AI 도구였어요. David는 월 4만 명의 정확한 타겟 고객에게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채널 가치를 본 거죠.
광고비를 계속 지불하는 것보다 아예 플랫폼을 인수해서 완전 통합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했어요. |
|
|
Q : 협상은 어떻게 진행됐고 왜 이렇게 빨랐나요? |
|
|
(Source : I sold my startup for $100,000)
Jed는 처음부터 6자리 수($100,000, 약 1억 3천만원) 미만으로는 안 판다고 명확히 했어요. David는 놀랍게도 바로 동의했고 첫 제안이 정확히 $100,000였어요.
구조는 다음과 같았어요 :
- 계약 체결 시: $20,000 현금 + $20,000 Jenny 주식 = $40,000
- 몇 달 후: $30,000 Jenny 주식
- 이후 몇 달간 분할 지급: $30,000 현금
결국 총 $100,000 중에서 50%는 현금($50,000), 50%는 Jenny 주식($50,000)으로 받게 된 구조였어요.
협상이 빨리 끝난 이유는 양쪽 모두 윈-윈이 명확했기 때문이에요. Jed는 더 이상 Rate My Dorm에 집중하지 않을 거라고 솔직하게 인정했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싶어했어요.
David는 완벽한 고객 획득 채널을 확보하는 기회였죠. 또한 Jenny와 Rate My Dorm은 이미 광고주-매체 관계였어서 서로의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있었고, 실사 과정도 빨라질 수 있었어요. |
|
|
Q : 28세에 6자리 수 매각, 정말 성공한 건가요? |
|
|
(Source : I sold my startup for $100,000) (이 친구 정말 멋있어요. 몸도 좋고 잘 생기고 사업도 잘하네요. 부럽...)
절대적 금액은 크지 않지만 여러 관점에서 성공적이에요.
ROI가 엄청나거든요. 투입 비용이 몇천 달러인데 $100,000를 받았으니까요.
더 중요한 건 첫 번째 Exit 경험이에요. 실리콘밸리는 연속 창업가를 높게 평가하고, 투자자들도 이전 Exit 경험이 있는 창업자를 더 신뢰해요. Jed는 혼자서 아이디어 구상부터 개발, 런칭, 마케팅, 매각까지 모든 과정을 성공시켰어요.
이런 풀스택 창업 능력을 증명한 거죠. '6자리 수 매각 창업자'라는 타이틀과 경험, 자금, 그리고 확장된 네트워크까지 확보해서 다음 프로젝트의 완벽한 발판을 마련한 거예요. |
|
|
Q : VC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인사이트는 뭘까요? |
|
|
첫째, 타겟 고객의 질이 매출보다 중요할 수 있어요. Rate My Dorm은 큰 수익이 없었지만 '100% 미국 대학생'이라는 완벽한 고객 세그먼트를 가지고 있었어요. 단순한 매출이나 이용자 수보다 고객의 질과 집중도가 더 중요한 가치를 만들 수 있거든요.
둘째, 기존 관계의 힘이에요. Jenny가 이미 광고주로 참여해서 플랫폼 가치를 직접 경험했다는 점이 핵심이었어요. 이런 기존 관계는 신뢰를 구축하고 실사 과정을 단축시켜요. VC들은 포트폴리오 회사들 간의 시너지를 더 적극적으로 중재해야 해요.
셋째, 창업자의 솔직함이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요. Jed가 자신의 한계와 상황을 투명하게 밝힌 게 오히려 좋은 거래로 이어졌어요. 과장이나 헛된 기대 없이 현실적인 협상이 가능했거든요. |
|
|
Q : Jedcal의 성공적인 Exit 사례에서 VC들이 배울 수 있는 투자 전략은 뭘까요? |
|
|
'마이크로 Exit' 시장에 주목해야 해요. 모든 스타트업이 유니콘이 될 필요는 없거든요. $100,000~$1,000,000 사이의 작은 매각도 충분히 의미 있는 투자 기회가 될 수 있어요. 특히 니치 마켓에서 강력한 포지션을 가진 스타트업들을 주목하고, '고객 획득 채널'로서의 가치도 평가해야 해요.
Jenny처럼 성장하는 회사들은 항상 새로운 고객 채널을 찾고 있어요. 단순 매출이나 이용자 수가 아니라 그 고객들이 다른 서비스에게 얼마나 가치 있는지 봐야 하거든요. 작은 니치 플랫폼들이 더 큰 회사들의 인수 타겟이 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투자해야 해요. |
|
|
오늘 배우게 된 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볼께요. |
|
|
- 타겟 고객의 질이 매출보다 중요할 수 있음
많은 스타트업들이 매출 숫자에만 집중하는데, Rate My Dorm 사례는 고객 세그먼트의 명확성이 더 중요할 수 있음을 보여줘요. 월 4만 명이라는 숫자 자체보다 '100% 미국 대학생'이라는 타겟의 질이 매각의 핵심 동력이었어요. VC들은 투자 평가 시 단순한 KPI보다 고객 집중도와 질을 더 깊이 살펴봐야 해요. 특히 B2B2C 모델이나 플랫폼 비즈니스에서는 이런 관점이 더욱 중요해요.
- 기존 관계가 M&A 성공률을 높임
Jenny와 Rate My Dorm은 이미 광고주-매체 관계였어요. 이런 기존 관계는 상호 신뢰를 구축하고 실사 과정을 단축시켜요. VC들은 포트폴리오 회사들 간의 시너지나 업계 내 파트너십을 더 적극적으로 중재해야 해요. 작은 협력 관계가 나중에 큰 M&A 기회로 발전할 수 있거든요.
- 마이크로 Exit 시장의 투자 기회
모든 스타트업이 유니콘이 될 필요는 없어요. $100,000~$1,000,000 사이의 작은 매각도 충분히 의미 있는 투자 성과가 될 수 있어요. 특히 니치 마켓에서 독점적 위치를 확보한 스타트업들은 더 큰 회사들의 인수 타겟이 될 가능성이 높아요. VC들은 이런 마이크로 Exit 시장에도 관심을 가져야 해요.
- 창업자의 투명성이 더 나은 결과를 만듦
Jed가 자신의 한계와 상황을 솔직하게 밝힌 게 오히려 좋은 거래로 이어졌어요. 헛된 기대나 과장 없이 현실적인 협상이 가능했거든요. VC들은 너무 낙관적이거나 과장하는 창업자보다 솔직하고 투명한 창업자들을 더 신뢰할 수 있어요. 이런 투명성이 장기적으로 더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만들어요.
* 향후 경제 성장 전망이 어두운 현 시점에서 앞으로 마이크로 Exit 시장과 니치 플랫폼들에 더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게 됐어요. 단순한 매출 성장보다는 고객 획득 채널로서의 가치와 타겟 고객의 질을 더 깊이 평가하는 관점을 가져야겠어요. 그리고 포트폴리오 회사들 간의 시너지 창출에도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겠다고 생각하게 됐어요. |
|
|
"비주류VC"는 계속 스타트업 산업과 투자 업계에 대한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빠르고 신선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해요. 운영 중인 Threads, 뉴스레터, Youtube를 구독해 주시면 큰 힘이 되요. |
|
|
|